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, 오늘의 에디터 정치부 김성진 차장과 함께 짚어 봅니다. 김 차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<br>오늘의 키워드 <다시 시작된 밀당> 입니다. <br><br>1. 남북협상에 맞춰 북미대화도 조금씩 다시 물꼬는 트이는 듯,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북한 리용호가 만난다고요? <br><br>한동안 꿈쩍도 않던 북미 대화가 평양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. <br><br>미국의 반응은 즉각적이었습니다.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다음 주 유엔 총회에 맞춰 뉴욕으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초청했습니다. <br> <br>동시에 북한 대표자들에겐 오스트리아 빈에서 만나자고 제안했는데요. <br> <br>빈에선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나섭니다. <br> <br>뉴욕과 빈에서 북미 대화가 투 트랙으로 진행될 전망입니다. <br><br>2. 그런데 뉴욕이라면 폼페이오 김영철 초청해 마천루 보여주고 했던 곳, 세 차례 마주앉은 카운터파트를 바꿨군요? <br><br>지금까지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상대는 김영철 국무위원회 부위원장이었는데 이번부터 리용호 외무상으로 바꾼겁니다. <br> <br>폼페이오 장관이 선수 교체를 요청한 셈인데 북미 대화를 계속 끌고가고 싶다는 의지의 표명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평양과 뉴욕에서 김영철 부위원장과 4번 만났지만 강경파에다 좀처럼 협상 여지를 주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1990년 초반부터 북핵 관련 대미 협상을 해 온 리용호 외무상과 매끄러운 진행을 해보겠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다만 김정은 위원장의 복심인 김영철 부위원장과의 라인은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미국의 태도가 이전과 달라진 것은 느긋해졌다는 겁니다. <br><br>[마크 폼페이오 / 미 국무장관] <br>우리는 비록 느리지만 꾸준한 진전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. 다만 북한 비핵화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는 걸 모두 알 겁니다. <br><br>미국이 대북 협상 진용을 다시 짜고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차근 차근 살펴보겠다는 겁니다. <br><br>3. 미국도 북한과 협상 원점 세팅을 시작한 것 같은데 문 대통령이 가져갈 중재 카드로 미국이 과연 움직일까요? <br><br>이번 평양 회담에서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의 조건인 '상응하는 조건'이 뭐냐에 달려 있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생각하는 상응하는 조건은 의심할 여지 없이 바로 '종전 선언'입니다. <br> <br>대북 제재 완화도 요청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오늘 "제재를 위한 제재가 아니고 비핵화를 실현하는 제재가 돼야 한다"고 말한 것도 북한의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반면 미국은 영변을 포함한 모든 핵시설에 대한 비핵화 조치가 시작돼야 종전선언을 해주겠단 입장입니다. <br> <br>말 그대로 동상이몽입니다. <br> <br>다만 일각에선 미국이 종전선언 대신 언제든 되돌리 수 있는 평양 연락사무소 설치 합의 등을 제시할 수 있단 분석도 나옵니다. <br><br>정치부 김성진 차장이었습니다.<br><br>▶관련 리포트<br>트럼프 설득할 “합의문에 없는 내용”…어떤 구상?<br>기사 바로가기 ☞ https://bit.ly/2xGHpjd</a><br><br>▶관련 리포트<br>美 “비핵화가 우선”…북한 제재 그대로 ‘압박’<br>기사 바로가기 ☞ https://bit.ly/2OJ1UDm</a><br><br>▶관련 리포트<br>“北, 하루 연장 제안”…정중히 거절한 청와대<br>기사 바로가기 ☞ https://bit.ly/2PWzKVQ</a><br>